임신준비 전 엽산을 챙겨 먹어야 한다라는 얘기는 너무 많이 들었다. 다만, 갑상선항진증 환자로 이미 하루에 안티로이드를 4알씩 복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양제 복용을 시작한다는 게 조금 부담이 됐다. 또, 임신 준비를 위한 영양제라는 제목으로 다양한 매체-유튜브, 블로그 등을 검색을 하니 너무 많은 정보가 나와 정보를 선별하고 제품을 고른다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 또한, 한국 영양제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가성비가 떨어짐)과 자세한 복약지도의 부재 등으로 아무 약국이나 방문해서 상세한 설명을 요청하기가 어려웠고, 최근에 개장했다는 성남의 창고형 드럭스토어도 생각만큼 저렴하지 않아 아쉬웠다. 그러던 도중 심심해서 GPT를 통해 영양제 구입을 진행하였고, 임신은 모르겠으나 갑상선 수치는 소폭이나마 감소하고 있어 GPT를 통한 구입이 그나마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여 구매 방법에 대해 공유해보고자 한다.
1. 갑상선 항진증과 영양제
갑상선 질환과 임신 중 영향: https://chatgpt.com/share/686a2968-3c60-800e-81a8-8c6536951f50
ChatGPT - 임신과 갑상선 질환
Shared via ChatGPT
chatgpt.com
안티로이드, 메티마졸은 갑상선 항진증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다만 주치의 선생님 말로는 해당 약물들이 워낙 나온지 오래됐고 여러 부작용이 있지만 가격이 워낙 저렴해서 돈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신약 개발을 안 한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약물 치료는 생각보다 긴 치료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임신준비를 하면서, 내가 먹는 약들이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알게 되었다. 다만 난소나이가 있고 더 이상 갑상선이 호전되기만을 기다리면서 임신을 미루는 건 무리라고 판단했다.
빠른 치료를 위해 영양제를 먹는건 어떨까 하고 생각해 보고 주치의 선생님께 물어보자, 약물 자체가 간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영양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아예 안 먹는 게 좋고, 그나마 셀레늄 정도는 TSH receptor Ab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는 연구논문들이 있기 때문에 해당 영양소는 챙겨 먹어볼 것을 권유했다.
이후 GPT와 함께 영양제를 검색하여 다음의 영양제를 찾아 구입하여 섭취했고, 그 기간동안 내 TSH, T3, T4, TSH receptor Ab 수치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구입 영양제: Life Extension, 슈퍼 셀레늄 복합체 & 비타민E, 200mcg, 베지 캡슐 100정(https://kr.iherb.com/pr/life-extension-super-selenium-complex-vitamin-e-200-mcg-100-vegetarian-capsules/46682)
- 영양제 섭취 기간 동안 갑상선 수치 변화
03월 10일 | 05월 12일 | 06월 23일 | 정상 범위 | |
free T3 | 4.01 | 3.61 | 3.57 | 2.20 ~ 4.30 |
free T4 | 1.67 | 1.12 | 1.31 | 0.80 ~ 1.70 |
TSH receptor Ab | 13.20 | 9.89 | 7.80 | 2.20 ~ 4.30 |
TSH | <0.01 | <0.01 | <0.01 | 0.5 ~ 6.89 |
해당 표를 보면 약의 용량을 결정하는 수치인 TSH receptor Ab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 사실 영양제에 대한 변수인지는 정확하게 파악은 되지 않는다. 영양제를 챙겨 먹으면서 메티마졸 → 안티로이드로 약을 변경했고, 약복용량을 고용량으로 사용한 지 꽤나 오랜 기간 지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투병생활을 되돌아보면, 유의미한 변화라고 생각된다. 약 복용량이 많아 비교적 자주 병원에 방문하고 있는데, 갈 때마다 40이 넘던 수치가 조금씩 조금씩 정상범위로 가고 있는 게 감사하고 행복하게 느껴진다.
2. 임신준비와 영양제
임신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영양제는 무엇일까?라고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엽산이라고 입을 모았다. 엽산을 먹으면서 막을 수 있는 기형이 있다고 한다. 그럼 그 외의 것들에는 뭐가 필요할까? 영양제를 먹고 나서 유의미한 변화가 발생한 것을 수치로 확인해 보니 먹을 수 있는 것들은 챙겨 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 GPT를 사용해서 영양제 검색을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프롬포터를 입력했다.
* GPT 질문:
너는 약사 또는 그에 준하는 전문가야. 임신 준비를 하려는데, 내 건강정보를 점검해서 영양제를 추천해 줘. 구입은 iHub에서 할 거고, 내 건강 정보는 다음과 같아.
- 음식 알레르기 없음
- 갑상선 항진증으로 안티로이드 매일 4알씩 복용 중임
* 안티로이드 부작용 중 하나가 간수치 상승이어서 간수치를 함께 확인 중 → 간에 부담이 가지 않는 선에서 복용을 원함
* 요오드는 피했으면 함
- AMH 수치: 0.22ng/ml로 낮은 편
- 나이: 만 32세
- 갑상선 수치 조절을 위해 셀레늄을 복용 중에 있음 (Life Extension, 슈퍼 셀레늄 복합체 & 비타민E, 200 mcg, 베지 캡슐 100정)
GPT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나는 해당 질문을 통해, GPT에게 "약사" 또는 "그에 준하는 전문가"라는 역할을 부여했고,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찾기 위해 "iHub"라는 서치 방법에 대해 제시했다.
그리고 내가 필요한 영양제에 대한 정보(임신준비)와 고려사항(건강 정보)에 대해 상세히 작성을 해주었고, 이를 물어봤더니 GPT는 다음과 같은 영양제를 추천해 줬다.
엽산 (5-MTHF 형태) | Thorne Research, 5-MTHF, 1mg (1,000mcg) | 활성형 엽산. 요오드 없음. 임신 전 필수 | 1정/일 | 이미 복용 중이라면 변경 X |
비타민 D3 | Nordic Naturals, Vitamin D3, 1,000 IU | 배란, 착상에 도움. 간에 부담 적음 | 1정/일 | 혈중 수치 30~50 ng/mL 유지 목표 |
마그네슘 | Doctor's Best, High Absorption Magnesium, 100% Chelated, 200mg | 자궁 근육 안정, 수면, 스트레스 완화 | 1~2정/일 | 간 독성 거의 없음 |
코엔자임 Q10 (Ubiquinol) | Jarrow Formulas, Ubiquinol, QH-Absorb, 100mg | 난소 노화 방지, 에너지 생성 | 1정/일 | 항산화제, 간에도 안전함 |
NAC (N-아세틸시스테인) | NOW Foods, NAC, 600mg | 항산화, 간 보호, 난소 기능 보조 | 1정/일 | 간 보호 효과 있음 |
오메가-3 | Nordic Naturals, Prenatal DHA | 태아 신경계 발달, 염증 조절 | 1~2정/일 | 요오드 무첨가 제품으로 선택해야 함 |
해당 제품들을 추천받고 내가 가장 먼저 한 일은 각각의 성분표를 파악한 일이었다. GPT는 거짓말이 매우 많기 때문에 iHub에 들어가서 비타민 A는 없는지(임신 중 기형아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제시한 성분이 맞는지 등 각각의 성분표를 확인했다. 그리고, GPT에게 다시 다음과 같이 물어봤다.
* GPT 질문: 해당 제품들을 매일 복용했을 때, 간이나 신장에 부담이 갈 수 있는지 임신 중 위험한 성분은 없는지 다시 한번 검토해 줘
성분 간/신장 독성 임신 중 안전성 주의사항 및 결론
5-MTHF (활성형 엽산) | 무해 | 매우 안전 (Category A) | 고용량도 안전함. 신경관 결손 예방 |
비타민 D3 (1,000 IU) | 고용량 지속 시 간에 영향 가능 (5,000 IU 이상 시) → 저용량은 안전 | 안전 (A) | 혈중 수치만 주기적으로 확인 필요 |
마그네슘 (Bisglycinate 등 킬레이트 형태) | 안전 | 안전 (A) | 산화형은 설사 유발 가능. 킬레이트형은 위장관 자극도 적음 |
셀레늄 (200mcg) | 고용량 장기 복용 시 간/신장 독성 가능 → 현재 용량은 안전 | 200mcg/day 이하 안전 (A) | 네가 이미 복용 중인 Life Extension 제품은 용량·형태 모두 적절 |
비타민 E (100 IU) | 400 IU 이상은 장기 고용량시 간독성 보고 있으나, 현재 용량은 안전 | 고용량은 기형 유발 가능성 보고 있음 → 100 IU 수준은 안전 (A~C) | 비타민E 단독 고용량 피하는 게 핵심, 현재는 복합제 내 포함이므로 OK |
코엔자임 Q10 (Ubiquinol, 100mg) | 간에 대사되나, 독성 없음 | 안전 추정 (B) | 항산화 효과, 난소 질 개선 데이터 있음 |
NAC (600mg) | 간 보호 성분으로 사용됨 (해독작용) | 동물실험 문제 없음, 인간 임신 중 안전성 데이터 부족 → 임신 전에는 안전 | 임신 중엔 주치의 상담 권장. 임신 전 복용은 OK |
오메가-3 (DHA 중심) | 안전 | 임신 필수 성분 (A) | 단, 비린내/산패된 제품은 위장장애 가능 |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다시 검증해 주는 수단으로 좋은 방법으로 보인다. 이후 추가할 수 있는 영양제가 있는지, 개수가 좀 많은데 줄여줄 수 있는지, 내 건강상태 중 빼먹은 부분이 없는지 등 GPT랑 대화를 해가면서 최종 구매 제품을 선정했다.
난임병원에 방문하니 어떤 영양제를 먹는지 물어보는 걸 보면, 영양제가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논문용 데이터를 모으는 행동일 수도 있긴 하다.) 다만, 영양제 자체가 개개인 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모르기 때문에 복약상담 등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영양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나의 경우 GPT를 사용하여 영양제를 검색했는데 1) 사용이 용이하고 2) 내 건강정보에 대해 충분한 대화가 가능하고 피드백이 빠르며 3) 다양한 제품들을 실시간으로 비교해 볼 수 있고 4) 시간이 충분히 여유롭다는 장점이 있었다. 사실 주변에 약사가 있다면 약사에게 묻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다만, 나처럼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복약상담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고, 주변에 약사가 없다면 GPT를 통해 일차적으로 영양제를 간소화시키고 바쁘시긴 하겠지만 의사 선생님들과 투약여부를 논의하는 방법도 나쁘진 않아 보인다.